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SYLVANIA T20 7443 LED


SYLVANIA 7443 T20 White LED Bulb (Pack of 2)



아마존에서 구매한 물건들이 도착했네요.

이미 이 블로그에서 다룬 거버 다임이 사진에 보이는군요.

노트5용 링케 클리어 케이스를 썼었는데 오래 쓰다보니 색이 누리끼리 해져서

스모키 색상으로 구매했습니다. 실제로 받아봐서 노트5에 껴보니 클리어보다 더 이쁘네요.


LED를 받았으니 후다닥 장착을 해봅니다.

차종은 부모님 차인 2005 Infiniti FX35

05년식은 한국엔 없는 모델로 알고있습니다


이 다음 디자인 바뀐 버전이 들어간걸로 알고있습니다.

엔진룸이 공간이 많아서 작업하기 참 쉬운 차종 중에 하나입니다




캐나다 BC주는 DRL (Daytime Running Light)이 자동차 운행중에는 항상 들어와있어야 합니다.

예전에 DRL모듈이 고장난 채로 운전하고 다니다가 경찰한테 한번 잡혔던 기억이있네요.


기존의 7443 백열등 입니다.

누리끼리하죠. 거기에 시동이 켜져있으면 항상 불이 들어오기 때문에

수명도 짧습니다. 1~2년 주기로 매번 교체해줬던 것 같네요


요즘 나오는 차들은 흰색 LED를 DRL로 많이 쓰는데

차는 오래되었지만 새로운 느낌을 주고 싶어서 LED를 장착합니다.




Sylvania LED

색이 다르죠?



기존의 백열등과 HID

흰색과 누런색이라 좀 언발란스해 보입니다.



LED 와 HID

둘의 색이 같습니다.



Sylvania LED는 다른 중국산 LED와 다르게 제품의 마감부터 퀄리티가 있습니다.

중국산 LED는 밝기에 치중해서 크기가 큰녀석도 있고 방열이 제대로 되어있지않은 제품이 많습니다.


LED는 발열이 중요합니다. 안그러면 수명이 짧아지거든요.


그리고 싸구려 중국산 7443 LED를 몇개 구매해서 써봤는데

7440/7443 둘 다 맞는 LED용이라고 광고하는것들이였는데


7440은 싱글 필라먼트.

7443은 듀얼 필라먼트입니다.


7443은 보통 브레이크등에 많이 들어가는 타입입니다.

미등/브레이크등 밝기의 구분이 확연해야하죠.


중국산 7440/7443은 벌브 하우징엔 딱 맞았지만

미등/브레이크등 밝기가 똑같습니다.

밤에 뒷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는지 안밟았는지 구분이 안갑니다.



하지만 필립스 실바니아 제품은 밝기의 구분이 확연히 됩니다.



(사진 출처 https://www.usa.philips.com/c-m-au/car-lights/vision-led)



실바니아 제품은 기존의 백열등 제품 처럼 리플렉터를 효율적으로 쓰는 디자인 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하우징 안에 LED의 광원 위치가 백열등과 같은 위치에 있다는 말이죠.


스펙상 밝은 LED를 껴도 광원의 위치가 좋지않다면 빛이 멀리 퍼져 나가지 못합니다.



1. 너무 밝지도 않고 적당한 기존의 백열등과 비슷한 스펙.

2. 백열등과 같은 광원 위치.

3. 향상된 수명.

4. 라이프타임 워런티.

5. 최신의 차종에 달려 나오는 LED 색상.


가격이 비싼게 단점입니다.

7554 백열등은 5불 정도 인데 실바니아 제품은 30불 가까이 주고 구매하였습니다.


필립스 에서 7443 흰색 LED 제품이 있었다면 필립스로 구매했을텐데

필립스에선 흰색 7443 LED를 만들지 않더군요.


만족스러운 작업이 였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aru BRZ 윈터타이어 교체  (0) 2017.11.22
1999 Honda Civic SIR  (0) 2017.11.17
돌 튄 안개등 임시 수리  (0) 2017.11.15
윈터 타이어 교체.  (0) 2017.11.02
OZ Racing Ultraleggera 센터캡 복원.  (0) 2017.10.28